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고전 번역/키시다 쿠니오245

'문단파동조'란 기사(6) - 키시다 쿠니오 신극 협회가 앞으로의 경제 지지자를 얻어 갱생의 첫걸음을 내디디려는 기회에 그 새로운 관련자로서 나는 세상의 신극 연구가 및 애호가에게 호소한다――우리의 일을 이해하고 지원해주길 바란다. × 먼저 신극 협회의 무대는 '한정된' 우리 몇 명의 야심을 만족하고 기량을 과시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게 아니다. 그 무대는 현대 일본서 갖은 의미로 연관된 신극 운동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기를 바라고 있다. × 무대 각본에 대해 말하자면 그게 어떤 '경향'이기 때문에, 어떤 '색조'이기 때문에 배척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그 점에선 진지한 극평론이 모두 평등하게 좌석을 주고 있다. × 배우는 현재 통일감이 없을 수밖에 없다. 가까운 장래에 통일감을 기할 수 있으리라. 무엇보다 무대 지휘자가 연습하는 며칠 동안 .. 2022. 7. 1.
'문단파동조'란 기사(5) - 키시다 쿠니오 이번 달은 동인의 책무(?)를 다 하게(?) 되었다. 짧지만 이는 제목에서 말해주듯 '다음 막'이 언젠가 열리게 되리라 생각해줬으면 한다. 노부인이 프랑스 문학을 읽는 건 단지 대사의 음악적 효과(반주적인)를 노린 걸 테니 뜻을 모르는 사람은 너무 담아두지 말고 읽고 지나쳐줬으면 한다. 의미를 아는 아는 사람은, 알아도 도리가 없다.(키시다) 2022. 6. 30.
'문단파동조'란 기사(4) - 키시다 쿠니오 각 잡지의 4월호 속 희곡을 스물다섯 편 가량 읽어 그 인상을 아사히에 적었는데 그 후 기증 받은 잡지 안에도 희곡이 두 편씩 실려 있었기에 이것도 읽지 않으면 미안해질 거 같다. 단지 이제 희곡은 질색이다. 한동안은 얼굴을 보는 것도 싫을 것 같다. × 월평이란 일은 하다못해 일 년은 이어가야 체면치레가 되리라. 한 달 툭하고 끝내서는 안 된다. 이번 달에 감탄한 작가라도 다음 달엔 감탄하지 않을지 모른다.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물론 월평가의 비평이 한 작가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진 않겠지만 공평을 기한다는 입장에선 젊은 작가의 작품을 함부로 다루는 건 삼가야 한다. × 하지만 '거리'란 동인잡지에 '트로이 목마' 일막을 쓴 츠보타 마사루는 젊음에도 유망한 작가이다. 희곡의 본질을 포착한단 점에서 가.. 2022. 6. 29.
'문단파동조'란 기사(3) - 키시다 쿠니오 문예 시절부터 창작의 명을 받았으나 대여섯 번 모종의 사고가 벌어지거나 혹은 시일이 부족한 등해서 한 번도 책무를 다 할 수 없었다. 이러한 동인 중에 이름을 두는 게 굉장히 안 맞는 거 같기도 하다. 하지만 이번에야말로――동인서 사퇴하라는 권고를 받기 전에――다른 걸 제쳐두고 뭔가를 쓸 생각이다.(키시다) × 이 란에 자기 이야기만 써선 혼날지 모르나―― 작년은 반 년을 고스란히 병상에서 보냈다. 이제까지는 병으로 눕는 게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어 자신의 공상벽을 만족시키는데 가장 형편 좋은 일이었으나, 이번에는 어찌 된 일인지 끝없이 강박관념에 쫓겨 말하자면 병을――적어도 병으로 누워 있는 동안을――이용할 수 없었다. 그런 데다 신경이 무서울 정도로 지쳐 있다. 머리가 텅 비었다는 건 이런 걸 말하.. 2022. 6. 28.
'문단파동조'란 기사(2) - 키시다 쿠니오 카미야 키이치 군, '광명 문학의 서곡'을 읽었습니다. 카미야 군이 나카무라 무라오 씨를 두고 하는 말은 물론 저로서도 무어라 말해야 하는 듯하지만 카미야 군과 저는 소위 '밝은 문학'을 주장하는 동기도 다른 듯하니 당분간은 입을 다물려고 합니다. 나카무라 씨께도 그걸 혼동하지 않길 바랍니다.(키시다) × 단지 저는 저대로 나카무라 씨께 이것만은 말해두고 싶습니다. 제가 추구하는 건 '밝은 인생'이 아닙니다. '밝은 문학'이죠. 그 '밝음'은 당신이 말하는 '인생'의 어딘가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건 단지 '있는 그대로의 인생'을 맹신하지 않는 인간의 조금 빛을 머금은 눈 안에 존재합니다.(키시다) 2022. 6. 27.
아쿠타가와상(제20회) 선평 - 키시다 쿠니오 내게 온 작품은 하나 같이 좋은 작품이었다. 그중에서도 여러 관점서 특히 추천하고 싶은 건 '기술사'였다. '봄'도 어떤 의미선 재미있고 '야생 기러기'는 충분히 우수함은 인정하나 이것이 오늘날 세간에 불어 넣을 바람이란 생각은 들지 않았다. '기술사'는 관념적이라면 관념적이며 지나치게 계몽적(문학의 본질이 아니란 뜻에서)이라면 계몽적이다. 하지만 어찌 됐든 시국의 표면에 드러난 전문적이면서 상식적인 문제를 정면으로 포착하는 기교상의 미묘한 곤란함을 어느 정도 정복하여 훌륭히 한 국민으로서의 감개를 작가의 정열과 융합시킨 재능과 노력을 높게 평가하고 싶다. 수상을 받은 '야생 기러기'에 대해 그 이유를 가장 정확히 말할 수 있는 건 아쉽게도 내가 아니다. 하지만 나는 선발자의 한 명으로서 다른 많은 선발.. 2022. 6. 26.
728x90
반응형
LIST